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와인 공부
    알아두기 2024. 11. 16. 00:10
    반응형

    https://www.wine21.com/14_info/info_view.html?Idx=5431

     

     

    모스카토 다스티 / 로제와인 입문
    입문 후 화이트 와인은 샤르도네, 소비뇽 블랑

    <편의점 와인>
    빌라엠/여성
    디아블로/남성

    <국가별 입문순서>
    칠레 > 미국 > 이탈리아 > 프랑스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 프랑스 부르고뉴 대표 레드 품종

    - 소나무(Pine tree)와 검정(Noir)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

    - 피노 누아는 전세계 서늘한 기후를 지닌 모든 곳에서 재배되지만, 프랑스 부르고뉴에서 자란 것을 최상으로 여긴다. 이 외 미국 오레곤(Oregon), 카르네로스(Caneros), 러시안 리버 밸리(Russian River Valley), 남아공의 워커 베이(Walker Bay)와 엘진(Elgin), 뉴질랜드의 마틴보로(Martinborough)에서도 재배되며, 프랑스 상파뉴(Champagne)에서도 생산

    카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 세계에서 널리 알려진 레드 와인 포도종 가운데 하나

    -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과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의 접합종

    - [카베르네] 는 이 포도 품종의 부모 중 하나인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에서 유래했습니다. 어원적으로는 라틴어 "caput"(머리 또는 수장)에서 파생된 것. **"Franc"**는 종종 다른 품종과 구별하여 **"순수한 품종" 또는 "독특한 특성을 지닌 품종"**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중세 유럽에서 와인 품종이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리던 시기, "Franc"라는 명칭은 품종의 정통성과 고유성을 나타내는 데 쓰였을 가능성

    - 블랙커런트, 블랙체리, 자두 향이 특징 / 숙성되면 삼나무와 담배 상자 풍미

    - 블랙커런트 향? 까치밥나무열매맛으로 엄청 독특함. 향신료같은 약간 화장품 향수같은데 베리류 과일에서 나는 상큼함도 있음.

    자기를 후추라고 착각하는 딸기를 먹으면 느껴질 것 같은 맛

    - 거의 전세계 와인산지에서 재배되며, 와인은 기후, 토양, 와인 양조방식에 따라 제각기 다른 맛을 낸다.

    - 포도가 완전히 익으려면 따뜻한 기후가 필요해 피노 누아(Pinot Noir)보다는 온난한 기후에서 재배가 잘 된다.

    - 구운 양 고기, 소고기 스테이크, 구운 가금류 등이 잘 어울리며, 이외 버섯이 들어간 음식, 비프 스튜 등도 잘 어울린다.

    메를로(Merlot)

    - 프랑스 레드 품종

    쉬라즈

    - 매우 진하며 검은색에 가까운 모습을 보임

    샤르도네 (Chardonnay)

    -백포도주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화이트 청포도 품종

    소비뇽 블랑

    - 화이트 청포도 품종 / 프랑스 단어 sauvage(소바주, 야생)과 blanc(블랑, 흰색)


    #레드와인향
    과일향, 오크향, 바닐라향, 레드베리향, 블랙베리향, 초콜릿향, 스파이시향, 허브향 등

    #화이트와인향
    감귤향, 시트러스향, 배향, 꽃향, 풀향 등

    #와인 테이스팅 용어(맛 표현)

    드라이하다 = 당도가 낮다

     -당도 단계

     

     

    바디감이 있다 = 와인의 질감 또는 무게감 / 묵직

    산도가 높다 = 신맛이 강하다

    타닌 = 떫은 정

    https://blog.naver.com/hellopet0924/223085673976

    #
    라이트바디 
    풀바디
    :: 보틀의 무게가 아닌, 입안에 물과 오렌지쥬스를 마셨을 때 질감이 다른 그 느끼;ㅁ
    :: 내용물이 가볍고 무거운 차이

    #
    아로마키트
    :: 와인의 맛과 향을 더욱 잘 구분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트레이닝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된 각종 향이 모여있는 키트

    #
    와인 적게 따르는 이유?
    많이 따르게 되면 향이 올라오기가 그만큼 무겁다
    공기와 최대한 노출을 많이 시키기 위해서 조금씩 따르고 마시고 조금씩 따르고 마시고

    #샴페인 vs 와인 차이?
    샴페인은 화이트 와인보다 일반적으로 산도가 높고 기포가 많다
    샴페인은 와인 중에서 발포성 즉, 거품이 있는 와인을 스파클링 와인이라고 하며 스파클링 와인 중에서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 생산된 것을 샹파뉴(=영어로 샴페인)이라고 함

     


    스틸와인(=일반와인)
    탄산이 없는 일반적인 와인 -> 레드, 화이트 와인
    알콜도수 15% 이하

    스파클링 와인
    탄산이 있는 와인 -> 샴페인, 스페인 카바, 이탈리아 프로세코

    주정 강화 와인
    -알콜도수가 높은 술을 첨가해 주정을 강화한 와인
    -15% ~ 22%

    ----- 색에 따른 와인 분류-----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로제와인

    레드와인
    레드 포도 품종으로 만든 와인

    화이트 와인
    화이트 포도 품종 + 레드 포도 품종 껍질을 제외하고 만든 와인

    로제 와인
    -레드+화이트 혼합 또는 레드포도 껍질에서 색소 조금 추출


    -----당도에 따른 와인 분류-----
    드라이, 미디엄드라이, 스위트

    드라이
    단맛이 없는 와인 -> 고기의 레드와인, 생선의 화이트 와인

    스위트
    아주 달콤한 와인 -> 프랑스 소테른, 포르투갈 포트, 아이스 와인
    디저트 와인으로 사용

    미디엄드라이 또는 오프 드라이
    중간당도로 입안에서 살짝의 단맛이 느껴짐


     

    <화이트 와인 대표 품종 3가지>
    리슬링, 소비뇽 블랑, 샤르도네


    리슬링
    가장 라이트한 바디를 가짐
    시트러스향, 청사과향, 복숭아향, 미네랄리티(광물향, 굴껍질, 돌, 석유향, 쇠맛)
    와인병 레이블 -> 퍼센티지 9% 이상이면 단맛 돌고, 11.5% 이하면 단맛좀 없어짐


    소비뇽 블랑
    원산지 프랑스
    보통 미디엄 바디 와인으로 생산
    코코넛, 바닐라향
    대부분 드라이 와인
    굴, 생선, 오리고기, 닭고기 어울림

    샤르도네
    중성적인 포도 품종
    재배지, 재조법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만들어짐
    대부분 드라이 와인
    오크숙성
    장기숙성용와인제조

    반응형

    '알아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지방 행정구역  (2) 2024.11.19
    해외여행 시 신용카드 세팅하기  (1) 2024.11.19
    징역 집행유예 n년  (1) 2024.11.15
    사진에 따른 활용 플랫폼 등  (1) 2024.11.15
    돼지 부위 소 부위  (0) 2024.11.12

    댓글

Designed by Tistory.